소원근 위치와 기능, 통증 원인과 스트레칭 방법 정리

-
소원근이란 무엇일까?
-
소원근의 해부학적 위치와 구조
-
소원근의 주요 기능
-
소원근 통증이 생기는 원인
-
반복적인 어깨 사용
-
잘못된 자세
-
-
소원근 손상 시 나타나는 증상
-
소원근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법
-
자주 묻는 질문 (FAQ)
소원근이란 무엇일까?
소원근(小圓筋, Teres minor muscle)은 어깨 뒤쪽에 위치한 작은 근육으로,
회전근개(rotator cuff)를 이루는 네 개의 근육 중 하나입니다.
비록 크기는 작지만, 어깨의 안정성과 움직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.
소원근의 해부학적 위치와 구조
소원근은 견갑골(어깨뼈)의 가쪽 경계(lateral border)에서 시작해 상완골(위팔뼈) 대결절(greater tubercle)에 붙습니다.
-
위치: 어깨 뒤쪽, 대원근(teres major) 위쪽에 자리함
-
신경 지배: 액와신경(axillary nerve)
-
혈액 공급: 어깨 뒤쪽 혈관망
소원근의 주요 기능
소원근은 회전근개 근육 중 하나로,
주로 어깨 관절의 외회전(external rotation)과 안정화에 기여합니다.
-
팔을 바깥으로 돌리는 동작에 관여
-
어깨 관절이 탈구되지 않도록 안정화
-
팔을 옆으로 들어올릴 때 상완골을 관절와에 밀착시키는 역할

소원근 통증이 생기는 원인
-
반복적인 어깨 사용
야구, 테니스, 배드민턴, 수영과 같이 팔을 반복적으로 외회전·들어올리는 운동은 소원근에 과부하를 줍니다. -
잘못된 자세
거북목, 굽은 어깨 자세가 지속되면 어깨 뒤쪽 근육이 긴장하면서 소원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-
노화와 퇴행성 변화
나이가 들면서 회전근개가 약해지고, 작은 손상들이 누적되면 소원근에도 염증이나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소원근 손상 시 나타나는 증상
-
팔을 바깥으로 돌릴 때 통증
-
어깨 뒤쪽 깊은 부위의 뻐근함
-
팔을 머리 위로 올리기 어려움
-
밤에 통증이 심해져 수면 방해
-
회전근개 파열의 일부로 동반되면 일상생활 불편이 커짐
소원근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법
스트레칭 방법
-
벽 스트레칭: 벽을 마주보고 팔꿈치를 직각으로 구부려 벽에 대고, 몸을 살짝 돌려 어깨 뒤쪽을 늘려줍니다.
-
수건 스트레칭: 수건을 어깨 뒤로 잡아 위팔을 바깥쪽으로 돌리며 당겨줍니다.
강화 운동
-
외회전 밴드 운동: 탄력 밴드를 팔꿈치에 고정하고 바깥쪽으로 팔을 천천히 돌리는 운동
-
사이드 라잉 외회전: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팔꿈치를 옆구리에 고정하고 덤벨을 들어 팔을 외회전
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을 병행하면 소원근 통증 예방과 회복에 효과적입니다.
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소원근은 회전근개 중 어떤 역할을 하나요?
→ 주로 어깨 관절의 외회전과 안정화를 담당합니다.
Q2. 소원근 파열은 수술이 필요한가요?
→ 부분 파열은 물리치료, 운동으로 회복 가능하지만, 완전 파열은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Q3. 소원근 통증과 어깨 충돌 증후군은 관련 있나요?
→ 네, 소원근이 약화되면 어깨 움직임이 불안정해져 충돌 증후군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등세모근에 관한 정보가 궁금하다면 ?
아래의 블로그 포스팅 링크를 클릭해 확인해보세요 !
∇∇∇∇∇∇∇∇∇∇∇∇∇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