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기도 하기도 차이, 구조, 관련 질환까지 한눈에 정리

-
상기도와 하기도란 무엇일까?
-
상기도의 구조와 기능
-
비강과 부비동
-
인두와 후두
-
-
하기도의 구조와 기능
-
기관과 기관지
-
세기관지와 폐포
-
-
상기도·하기도 관련 주요 질환
-
호흡기 건강 관리법
-
자주 묻는 질문 (FAQ)
상기도와 하기도란 무엇일까?
호흡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.
상기도(Upper airway)는 공기가 몸 안으로 들어오는 입구 역할을 하는 상부 호흡기관이고,
하기도(Lower airway)는 실제로 폐 속까지 공기를 전달해 가스 교환이 일어나는 하부 호흡기관입니다.
상기도의 구조와 기능
상기도는 코에서 시작해 후두까지 이어지는 부분입니다.
-
비강과 부비동: 공기를 걸러내고,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며, 냄새를 감지합니다.
-
인두(Pharynx): 음식과 공기가 모두 지나가는 통로로, 호흡과 소화에 동시에 관여합니다.
-
후두(Larynx): 성대가 위치해 발성을 담당하며,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합니다.
요약하자면 상기도는 공기 정화 + 발성 + 보호 기능을 수행합니다.

하기도의 구조와 기능
하기도는 후두 아래부터 폐 깊숙한 곳까지 이어집니다.
-
기관(Trachea): 공기를 좌우 폐로 나누어 보내는 관
-
기관지(Bronchi): 좌·우 기관지로 나뉘어 점점 가늘어지는 가지 구조 형성
-
세기관지와 폐포: 세기관지는 공기를 폐포로 전달하며, 폐포에서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실제 교환이 일어납니다.
요약하자면 하기도는 산소 공급 + 이산화탄소 배출이라는 생명 유지 핵심 기능을 담당합니다.
상기도·하기도 관련 주요 질환
-
상기도 질환: 감기, 비염, 편도염, 인후염, 후두염 등
-
하기도 질환: 기관지염, 폐렴, 천식, 만성폐쇄성폐질환(COPD) 등
상기도 질환은 대체로 가볍게 지나가지만, 하기도 질환은 호흡 곤란 등 심각한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호흡기 건강 관리법
-
손 씻기·마스크 착용: 상기도 감염 예방
-
금연: 흡연은 하기도 손상, 만성 폐질환 주요 원인
-
규칙적인 운동: 폐활량 강화, 면역력 향상
-
실내 공기 관리: 적정 습도 유지, 미세먼지 차단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상기도와 하기도는 어디서 나뉘나요?
→ 후두(성대 부위)를 기준으로 위쪽은 상기도, 아래쪽은 하기도입니다.
Q2. 상기도 질환은 대부분 가볍나요?
→ 네, 대개 감염이나 염증으로 며칠 내 호전되지만, 방치 시 하기도로 번져 폐렴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Q3. 하기도 질환은 왜 더 위험한가요?
→ 폐포는 산소 교환의 핵심 기관이라 염증·손상 시 호흡곤란과 생명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