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측광근 위치와 기능, 무릎 건강과 강화 운동까지 정리

내측광근 위치와 기능, 무릎 건강과 강화 운동까지 정리


  • 내측광근이란 무엇일까?

  • 내측광근의 해부학적 위치와 구조

  • 내측광근의 주요 기능

  • 내측광근과 무릎 건강의 관계

  • 내측광근 약화 시 나타나는 문제

  • 내측광근 강화 운동법

    • 레그 익스텐션 (끝 범위 고정)
    • 스쿼트 변형 운동
    • 밴드·볼 이용한 운동
  • 자주 묻는 질문 (FAQ)


내측광근이란 무엇일까?

내측광근(內側廣筋, Vastus medialis)은 허벅지 앞쪽의 큰 근육인

대퇴사두근(Quadriceps femoris)을 이루는 네 개 근육 중 하나입니다.

허벅지 안쪽에 위치하며, 특히 무릎 관절을 안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운동 선수, 무릎 부상 환자, 재활 치료를 받는 사람들에게 반드시 언급되는 근육이기도 합니다.

내측광근의 해부학적 위치와 구조

  • 기시(Origin): 대퇴골의 내측선(linea aspera medial lip)

  • 정지(Insertion): 슬개골(무릎뼈)과 슬개건(patellar tendon)을 거쳐 경골조면(tibial tuberosity)에 붙음

  • 신경 지배: 대퇴신경(Femoral nerve)

  • 위치: 허벅지 앞 안쪽에 삼각형 모양으로 분포하며, 무릎뼈의 안쪽을 감싸듯 붙음

무릎 위에서 안쪽으로 볼록하게 만져지는 근육이 바로 내측광근입니다.

내측광근의 주요 기능

  • 무릎 신전(펴기): 대퇴사두근의 일부로 무릎을 곧게 펴는 동작에 기여

  • 무릎 안정화: 무릎뼈(슬개골)를 바깥쪽으로 밀리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

  • 보행과 운동 보조: 계단 오르내리기, 점프, 달리기에서 무릎 관절이 흔들리지 않도록 도움

 

내측광근과 무릎 건강의 관계

내측광근은 특히 무릎뼈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,

약화되면 슬개골 외측 전위(lateral tracking)가 발생해 무릎 통증이나 연골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  • 대표적인 질환: 슬개대퇴통증증후군, 무릎 전방 통증, 연골연화증

  • 운동선수에게는 점프 후 착지 시 무릎 흔들림, 러너스 니(runner’s knee)와도 관련

 

내측광근 약화 시 나타나는 문제

  • 무릎이 쉽게 아프거나 ‘덜컥’하는 느낌

  • 계단 오르내릴 때 무릎 통증

  • 스쿼트, 점프 시 무릎 안쪽 통증

  • 반복적 손상으로 퇴행성 관절염 위험 증가

 

내측광근 강화 운동법

  1. 레그 익스텐션(끝 범위 고정)

    • 기구에서 무릎을 펴는 동작을 하고, 마지막 15~20° 구간에서 멈춰 5초간 버텨줍니다.

    • 내측광근이 집중적으로 활성화됩니다.

  2. 스쿼트 변형 운동

    • 발끝을 약간 바깥쪽으로 벌리고 스쿼트를 하면서 무릎이 안쪽으로 모이지 않도록 조절합니다.

    • 벽 스쿼트(Wall sit)도 내측광근 강화에 효과적입니다.

  3. 밴드·볼 운동

    • 무릎 사이에 볼이나 밴드를 끼고 스쿼트를 하면 내측광근이 더 활성화됩니다.

핵심은 무릎 관절의 마지막 펴기 동작에서 내측광근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.
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내측광근은 왜 무릎 건강에서 중요하나요?
→ 무릎뼈의 위치를 잡아주기 때문에 약화되면 통증과 손상이 쉽게 발생합니다.

Q2. 일반 스쿼트로도 강화가 되나요?
→ 네, 하지만 마지막 구간을 강조하는 변형 운동이 내측광근 활성화에 더 효과적입니다.

Q3. 내측광근 약화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→ 무릎 통증이 잦고 계단 오르내리기가 힘들다면 약화 신호일 수 있습니다.

 

댓글 달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